초보도 읽는 경제신문

[1분 쉬운경제] “미운 오리 아닌 백조였네”…중학개미 '우르르'

알고크라시 2025. 3. 22. 23:04

기사 요약

중국 AI 스타트업 ‘딥시크(DeepSeek)’가 GPT급 성능을 가진 생성형 AI 모델을 개발하면서,
중국 기술주에 대한 신뢰가 회복되고 국내 투자자들이 다시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.

  • 샤오미·BYD 등 중국 테크주들이 외국주식 순매수 상위권에 진입했고,
  • 중국 테크 기업 중심 ETF인 ‘TIGER 차이나항셍테크’에는 2658억 원이 유입됐습니다.
  • 이는 미국 기술 ETF보다 더 많은 자금이 몰린 수치입니다.
  • 중국 정부의 내수 진작 정책 ‘이구환신’과 기술 자립화 움직임도 투자 심리를 자극하고 있습니다.

기사 설명하기

🧠 딥시크가 뭐길래?

중국 AI 기업 딥시크는
“미국의 10분의 1 비용”으로 GPT급 AI 모델을 만들어냈다고 발표했어요.
이는 미국의 AI 칩 수출 제재에도 불구하고,
중국이 기술적으로 ‘싸고 잘 만든 AI’를 뽑아냈다는 증거로 주목받았습니다.

그 결과,

“중국 AI, 무시할 수 없다”는 인식이 퍼졌고
중국 기술주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살아났습니다.


📈 투자자 반응은 어땠을까?

중학개미(국내 개인 투자자)들은

  • 샤오미, BYD 같은 중국 테크주를 대거 순매수했고
  • ‘TIGER 차이나항셍테크 ETF’에만 2658억 원이 유입,
    이는 미국 기술 ETF보다도 많은 자금입니다.

또한 중국의 **‘이구환신’(낡은 제품을 새 걸로 바꿔주는 정책)**이

  • 스마트폰, 전자기기, 전기차 수요를 키우고 있고
  • 내수 회복 기대를 높이고 있어요.

→ “이제는 미운 오리가 아니라 백조였네”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

 

한동안 외면받았던 중국 기술주,
AI 기술력과 정부 지원으로 중학개미들의 관심이 다시 불붙고 있습니다.

 

*원문 기사를 보면서 개념을 복습해보세요

출처 : 미운 오리 아닌 백조였네중학개미 우르르 | 한국경제TV